파리를 잡기 힘든 이유는 ?"빨라도 너무 빨라" 여름에 우리를 괴롭히는 녀석이 있는데 오늘은 모기 말고 파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리를 잡기 힘든 이유는 ? 이녀석은 어찌나 빠른지 잡기가 쉽지않아서 스트레스를 받는다.특히 밥먹을때 자꾸 날아들면 보통 귀찮은게 아니다. 그럼 파리는 어떻게 성장하는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파리 란?
파리를 잡기 힘든 이유는? 파리는 크기가 작은 새와 해충류를 포함하는 동물계의 곤충 문에 속한다. 파리는 다양한 서식지 에서 발견될수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수천종 이상이 존재한다. 파리중 일부는 인간의 건강을 해칠수있으며 질병의 원인균을 전염시키고 먹이나 흙등 오염된 물질을 전파할수도 있는 존재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파리는 유익한 역할도 하게되는데 예를 들어 꽃가루 수분확산 같은 일을 하기도한다.
파리의 능력
파리는 빠른 근육운동 능력과 다양한 혈액순환 체계,높은지능,우수한 시각능력,반응성 및 균형감각 등으로 무장되어있다.빠리가 빠른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리의 근육은 다른 동물보다 5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수축할수 있어서 빠른 속도로 움직일수 있다. 그리고 날개짓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파리가 날개짓을 할때 날개의 각도와 비행속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기도 한다.
파리의 시각능력은 매우 뛰어난 편이며 파리는 100여 개의 복합 눈을 가지고있으며 이를 통해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도 잘 포착할수있다. 마지막으로 파리의 몸의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공기 저항이 적어 같은크기의 동물들보다 더 빠르게 움직일수있다.
파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전 세계적으로 수천종류가 존재하며 일반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집파리 집파리는 가장 흔하고 우리 주변에 많은 파리이다.인간근처에서 발견되며 음식물을 비롯한 쓰레기 등에서 많이 발견된다. 다음으로 긴다리파리는 음식물 파리와 달리 1~2 cm 정도의 크기로 길고 가늘고 기형적인 다리와 긴 가시가 특징인 파리이다. 다음으로는 말벌파리 인데 평범한 집파리와는 다르게 노란색과 검정색으로 된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특징이 있는 파리이다.
구름파리도 있는데 독수리,황소,쥐 등 면역력이 약한 동물의 주변에서 발견이되며 시체의 발생에 매우 민감한 파리이다.바늘파리는 과일을 감염시켜 식용을 위협할수 있는 파리이며 농작물 손상을 유발시키는 파리이다.마지막 으로 작은파리인데 우리가 흔히 보는 아주 귀찮은 존재인 날파리 를 말하며 약 3mm의 크기로 깐 과일이나 과일쥬스등 단맛을 띄는 것들에 자주출몰을 한다.
파리의 성장과정
파리의 성장과정은 4단계로 이루어지며 일단계는 파리의 생명주기가 시작되는 단계로 알에서 부화되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다음으로 애벌레 단계이며 알에서 나온 새끼 파리가 이단계에 진입을하며 애벌레는 식물성 먹이를 먹으면서 크기를 빠르게 키워나가게 된다. 애벌레는 몸이 작은 움직이는 나비와 같은 모습을 가지고있다. 다음은 번데기 단계이며 애벌레가 성장하면서 번데기 단계로 진입을 한다.
몸통이 짧고 무거워지며 앞과 뒤에 날개와 다리 몸통에 10개의 발달 숨이 생성이된다. 마지막으로 성충단계로 번데기가 성장하면서 성충이된다. 이단계에서 성충은 파리 형태로 독립적인 생활을 시작하며 성충은 풍부한 양분을 위해 꽃이나 과일등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며 발생하는 체내 탄소와 물을 이용해 깊은 숨물을 생성하게된다.
파리 예방법
집파리나 날파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쓰레기나 분해된 음식물 에서 서식하므로 음식물 쓰레기는 봉투에 밀봉을 철저히 해야한다.파리를 퇴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제일중요한건 위생이다. 쓰레기 를 잘 처리하고 청결에 신경써야한다. 퇴치 도구는 파리채,스프레이,끈끈이등이있으며 벌레들이 싫어하는 천연 방향제를 사용하기도 한다.다시 말하지만 신경이 많이 쓰일정도로 파리들이 많이 보인다면 청소등을 통해 파리의 서식처가 되는곳에 환경 자체를 개선하는것이 좋은 방법이다.
'일상의모든호기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f 영화의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 ,최초 상영장 제목을 아시나요? ,16살 때 만든 영화를 극장에서 상영했다고? (0) | 2023.08.03 |
---|---|
흰 머리카락 이 왜 생길까?, 흰 머리카락 뽑아도 될까? , 최소화 방법 (0) | 2023.08.02 |
지진은 왜 발생하나요 ? / 지진에도 종류가 있나요?/지진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를 하나요 (0) | 2023.07.29 |
날씨 예보 는 언제부터 시작했을까? / 내일 날씨를 예측하는 슈퍼컴퓨터가 하는 역할은? / 실시간 날씨 예보 최초는? (0) | 2023.07.27 |
전세계가 폭염 으로 펄펄 끓고있다 ?/ 지구 온난화와 제트기류?/폭염을 잘 대처하는 방법은 ? (0) | 2023.07.21 |